본문 바로가기

동물이야기

고양이 질병 종류 및 증상


고양이 질병 종류

크게 바이러스성 질병세균성(및 기타) 질병으로 나눠볼게요.

 



바이러스성 질병

고양이 질병에는 범백혈구 감소증(범백),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염 (허피스),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칼리시), 고양이 클라미디아, 광견병, 복막염(건식/습식), 구내염등이 있습니다.

 


1.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범백)
일명 파보 바이러스로 불리는 범백은 고양이의 소변과 대변으로 배출되는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됩니다. 주 증상으로 구토, 설사, 식욕 감퇴, 발열이 나타나며 힘이 없어 움직임이 없고 웅크려 있는것이 특징 입니다. 파보 바이러스가 침투해서 장을 손상시켜 영양분 흡수가 안되고 장내 출혈이 나서 피 설사를 하게 됩니다. 아기 고양이나 성묘 모두에게 위험하며 치사율 90%입니다. 잠복기를 제외하고는 키트 검사로 정확하게 진단이 가능합니다. 병원에서 키트검사로 알 수 있는데 비용은 대략 4만원 정도 하고 동물약국이나 인터넷에도 범백키트를 판매하기땜에 셀프검사도 가능합니다. 한번 걸리면 특별한 치료약이 없고 전염성도 강하기 때문에 오로지 예방만이 최선의 치료약이며 예방접종으로 예방 가능합니다.


2. 고양이 바이러스성 비기관염 (허피스)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으로 바이러스가 결막과 콧속 점막에 증식하여 염증을 일으켜서 주로 콧물을 흘리거나 눈곱이 많이 끼게 됩니다. 초기에는 맑은 눈물과 콧물을 흘리다가 점차 누런 콧물, 눈물이 나는데 심하면 결막염, 각막염까지 일으키게 됩니다. 증상이 사람 감기와 비슷해서 고양이 감기로도 불립니다.

 

어른 고양이는 잘 걸리지 않으며 걸려도 1주일 정도면 자연스럽게 회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병 자체는 큰 질병이 아닌데 길에서 사는 길냥이들 같은 경우 제때 치료받지 못해 심할경우 안구가 녹아 없어지거나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기고양이들이 걸리면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고양이 칼리시 바이러스
고양이 인플루엔자라고도 하며 입을 통해 몸으로 들어와 입, 코, 눈 등의 점막에 침투하는 질병입니다. 주로 입과 혀 아래쪽에 수포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눈곱이 많이 끼고 입 주위나 입안에 궤양성 설염이 생겨 식욕 부진의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바이러스에 걸린 고양이의 타액, 눈물, 콧물 등의 분비물에 의해 직접적으로 감염이 되기도 하지만 간접적인 매개물에 의해서도 전파가 된다.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중복 감염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어른 고양이의 경우는 발병한다 해도 자연스럽게 낫는 경우가 많지만 어린 고양이는 위험하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건강한 고양이는 가벼운 호흡기 증상만 보이고 스스로 치유되지만 감염 형태와 면역 상태에 따라 2년 이상 지속되기도 합니다.

 


4. 고양이 클라미디아
바이러스성 상부 호흡기 감염증과 재채기, 결막염 등의 증상과 매우 비슷해 구별이 어렵습니다. 5주~3개월 사이의 아기 고양이에게 주로 발병하는데 한 쪽 눈에만 결막염이 오거나, 노란 눈꼽, 결막 부종 등의 특징이 나타나며 회복되어도 재발 가능성이 높아 적어도 2~3주는 안약을 넣어 주어야 합니다.

5. 고양이 백혈병
레트로 바이러스라는 장내 바이러스가 원인이며 장, 림프계, 골수 등 증식이 빠른 곳에 우선적으로 감염되어 퍼지며 장 점막의 파괴로 설사를 하게 되고 악성 종양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안타깝게도 백신 접종을 한다 해도 100% 예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백신 접종을 한 고양이가 감염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 하더라도 노출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며 백신 접종 시에는 반드시 항체가 검사를 통해 음성이 나왔을 경우에만 접종을 실시해야 합니다. 


6. 광견병
가장 위험하고 치명적이며 치료법이 없는 바이러스로 뇌와 신경계를 공격하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이 질병은 감염된 동물로부터 물렸을 때 타액에 의해 전파되는데요. 고양이 역시 감염 숙주로 사람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생후 13주 이상의 고양이에게는 접종을 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광견병이 사라진 지 오래되기는 했지만 야생 동물의 경우 광견병 백신 접종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기 때문에 0.00001%의 가능성이라도 있다면 치명적인 질병이기 때문에 외출하는 고양이, 마당냥이 라면 매년 추가 접종을 해 주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고양이라도 적어도 3년에 한 번은 추가 접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7. 복막염(건식/습식)
체내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변이해서 발병하는 질병입니다. 아직까지 원인을 몰라 치료법 없으며 예방주사를 맞고 오히려 걸린 경우도 있어 추천하지 않는 수의사도 많습니다. 치료약 없고 치사율100%라서 수의사들 사이에서 나으면 복막염이 아니었다(오진), 죽으면 복막염이었다. 라는 얘기가 있을정도로.. 무서운 질병입니다.

 

건식복막염과 습식복막염이 있는데 습식은 복막에 물이 차서 주사기로 빼줘야 합니다.

 

간혹 기적적으로 이겨낸 고양이도 있으나 아주 힘든 병이며 최근에는 복막염 신약이 개발되서 생존율이 조금 높아졌다고 하니 희망은 있습니다. 일단 걸리면 기력이 없어지다 식욕저하가 오는데 면역력이 약해지면 이겨내기 힘들기 때문에 무조건 잘 먹이는게 중요합니다.

  
고양이는 워낙 스트레스에 약한 동물이라 없던 병도 스트레스 때문에 생기기도 합니다. 평소에 충분히 잘 놀아주고 안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여러 고양이 사이의 경쟁이 잦은 다묘가정이라면 특히 스트레스 관리를 꼭 해주어야 합니다.

 

 

8. 구내염

고양이 구내염이란 구강 점막, 혀, 잇몸을 포함한 구강 내에 염증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원인은 외상, 약물, 독극물 자극, 치은염에서 유래하는 세균, 진균, 종양, 바이러스 감염, 비타민 결핍증 등으로 다양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특히 고양이 면역부전 바이러스 감염증과 백혈병 바이러스 감염증에 의한 2차적인 구내염인 경우 예후가 나쁘며 일반적으로 구강 내 염증은 타액의 항균 작용과 세정 작용에 의해 자연 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단 구내염이 발생하면 만성으로 이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길에서 생활하는 길고양이들은 부패한 음식물, 영양불균형, 비위생적인 환경에서의 음식섭취로 인해 구내염을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양이 구내염은 심한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밥을 먹을때 고개를 털거나 손으로 턱 주변을 만지면 통증을 호소하고 씹고 삼키지 못해 마르게 되고 이는 면역력 저하로 이어져 다른 질병에도 쉽게 노출되게 됩니다.


세균성 및 기타질병

1. 고양이 곰팡이성 피부염 
일명 링웜이라고도 불리는데 습하거나 햇빛이 잘 들어오지 않는 곳이나 위생이 좋지 않을때 면역력이 약해졌을때 걸립니다.

가려움증, 털땜방, 갑자기 격한 그루밍, 털이 각질과 함께 떨어져 나오는 등의 증상이 있고 사람과 다른 고양이한테도 옮을 수 있기 때문에 격리를 해줘야 합니다. 하지만 죽을 병은 아니므로 사람한테 옮다가도 저절로 낫는 경우도 있고 심해져서 고양이도, 사람도 각자 약을 먹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입양했는데 또는 냥줍을 했는데 곰팡이성 피부염이라고해서 파양하거나 다시 갖다 놓을까 망설이는 경우도 있는데 1~2주 정도 약먹으면 나을 수 있는 병이기 때문에 너무 겁먹지 마시길바랍니다. 
사람에게 옮았을 경우 가려움이 심하다면 피부과 가서 연고바르고 약먹으면 금방 낫습니다. 냥이의 경우 약 잘 먹이고 털관리(털 밀어주거나 깨끗이 관리) 및 병원에서 시키는 대로 하면 (집사가 좀 부지런해지고 케어만 잘해주면)1~2주정도면 낫는다고 하니 너무 걱정 마세요.



2. 하부요로계 질환
하부요로계 질환 중 대표적으로 방광염이 가장 잘 걸리는데요. 스트레스로 인한 특발성방광염, 더러운 모래를 사용해서 걸리는 세균성 방광염 등등 원인은 많습니다.

 

증상은 냥이가 화장실을 자꾸 들락날락 거리고 모래를 파고 물을 잘 안먹고 화장실 앞에서 운다면 의심해 보세요. 오줌을 누고 싶은데 못 눠서 그럴수도 있어요. 배변을 못하면 생명이 위험합니다. 얼른 병원 데려가시길..

방광염을 모르고 방치하거나 재발되면 신부전이 오는데요. 증상은 갑자기 미친듯이 물을 많이 먹는 것입니다. 


예방법은 평소 물 많이 먹이기 입니다. 

물의 적정 섭취량은 몸무게 1kg당 60ml 정도 인데요. 고양이가 원래 물을 잘 안먹다 보니 억지로 먹이기가 힘들죠. 그럴땐 평소 습식캔에 물을 섞어 주거나 습식사료(생식)등을 이용해 수분섭취를 많이 하게 하고 츄르에 물을 섞어 주는것도 좋습니다. 또 고양이 밥그릇과 행동반경 주변에 물그릇을 2~3곳에 배치해서 수시로 먹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것도 좋아요. 가장 좋은 것은 생식으로 전환인데요. 생식은 신선한 닭고기나 생선 육류 90에 야채,곡류 10 비율로 자연식품을 섭취하게 하는건데요. 자연식품안에는 고단백, 무첨가, 수분함량높음이 다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죠. 실제로 이렇게 해서 완치된 사례도 있습니다. 전환이 어렵다면 사료와 생식을 병행하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3. 결막염
모래쓰는 냥이들이 모래먼지 때문에 눈물을 흘리거나 재채기를 하는경우가 있는데요. 우선 먼지 안나는 모래로 바꿔주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결막염이 왔다면 동물병원은 정말 쬐끔한 안약이 몇 만원씩 하니 가벼운 결막염이라면 일반 약국가셔서 사람 안약 사서 넣어주세요. (1번에 한방울씩 하루에 2~3번정도 - 약 1주일간)

 

처방전 없이 사는 안약과 처방전들고 사는 안약의 차이점은 항생제 함유량 차이입니다. 인수공통 이란 말도 있듯 시판되는 약들은 다 동물실험을 거쳐 나오기 땜에 동물한테도 효과는 있어요. (안약과 후시딘 정도는 써도 된다고 생각) 저희집 냥이도 결막염 증상을 보여 약국가서 안약 사서 넣어주니 일주일만에 다 나았어요. 거기에 영양제로 관리해서 지금은 눈꼽 전혀 안낀답니다.


하지만 단순 결막염이 아닌 위의 칼리시, 허피스 등의 증상 중 하나로 결막염이 온거라면 안약만 넣어주면 안되고 약도 같이 먹어야 하니 병원진료를 꼭 해주세요.



4. 심장사상충 및 외부 기생충
심장사상충은 모기의 유충이 개나 고양이 몸속으로 들어가 장기를 파고드는 것입니다. 걸리면 치명적이구요.  유충이 어떻게 몸속으로 들어갈까? 모기가 피를 빨아먹는 과정에서 유충이 침입한다고 합니다.


퇴치 원리는 액상상태의 약을 고양이나 개가 핥지 못하는 목덜미 뒤쪽 부분에 발라서 모기나 진드기가 오지 못하게 하는 원리 입니다.

수의사들은 한달에 한번 꼭 해주어야 한다고 하지만 실내생활만 하는 집고양이는 유충에 감염될 확률이 현저히 낮고 약의 독성등을 생각해 불필요 하다고 보는 집사님들도 많습니다. 다만 외출냥이, 마당냥이, 길냥이, 산책하는 개의 경우엔 등은 해주는 것이 좋겠죠.  병원에선 집냥이도 1달에 한번 해주라고 하는데 이 약도 독하기 때문에 아예 안해주거나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 한철 (6~8월)에 한시적으로 해주기도 합니다. 정보를 찾다 보니 다달이 해주다 고양이 뒷통수에 영구땜빵난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그만큼 약이 독해서.. (쉽게 말해 F킬라? 발라주는거나 마찬가지라는 말도 있는데 암튼 해충약은 맞습니다. 모기 진드기땜에 바르는 거니..) 피부에 직접 닿아 좋을건 없는거죠.

에드보킷, 레볼루션 등 다양한 제품이 있는데 종류마다 예방범위가 다릅니다. 병원가면 한번 바르는데 몇만원씩 하는데 인터넷에 해당제품 사다가 직접 바르면 절반이상 쌉니다. (약값은 얼마안함).

그냥 목덜미 뒤쪽에 살위에 발라주는거라서 딱히 기술을 요하진 않습니다. 약을 바르면 모기 및 외부 기생충을 예방해 줍니다. 다묘가정일 경우 서로 그루밍 해줄 수 있으므로 바르고 나서 몇시간은 주의를 해야 합니다. 피부로 흡수되는 약이라서 임산부의 경우 장갑끼고 발라주세요.


5. 내부기생충
구충은 해주는게 좋습니다. 벌레나 흙같은거 주워먹으면 감염될 확률이 높거든요.
파나쿠어 정(알약)이나 파나쿠어산(가루)가 있습니다. 동물약국이나 일반약국(동물약품취급점)에서 팝니다.
길냥이나 마당냥이, 외출냥이는 1개월마다 주기적으로 먹이고 집냥이는 한번만 먹이셔도 될거같아요. 구충제의 종류에 따라 임신묘, 새끼묘가 먹어도 되고 과다복용해도 괜찮은게 있는데 제품마다 차이점을 보시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6. 귀진드기
고양이가 머리를 자주 흔들거나 귀를 자주 긁으면 귀진드기를 의심해 보세요. 진드기가 아닌 일반적인 경우라면 귀는 손대지 않는것이 좋다고 해요. 귀 청소약이라고 파는데 그걸 솜에 묻혀 닦아주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그게 귓병을 키운다고 하네요. 귀진드기나 귓병이 있지 않는 이상 귀는 손대지 않는게 좋고 귀 속이 까맣거나 때가 꼈다고 닦아주는데 그냥 두면 저절로 때가 밖으로 밀려 나온다고 하네요.
손 댔다가 귓병생겨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진드기의심이 아니라면 그냥 두는게 좋습니다.